기계설계도면상품 기초 지식

부품이나 도면의 표준화에 대한 장단점

제조업에서는 관리 절감이나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기법으로 부품이나 도면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는 그 내용이 여러 방면에 걸쳐 있어 제대로 운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면 관리 절감이 불가능

부품이나 도면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을 경우 현저히 드러나는 문제는 “유사 부품”이 많이 만들어지거나 관련 도면의 수가 방대해진다는 점입니다. 원래는 융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인데 새로운 부품으로 부품 번호가 붙어 도면이 작성됩니다. 예를 들어, 1개로 끝날 부품과 도면이 여러 개 만들어집니다. 그 결과 부품표 관리, 도면 관리, 조달 관리, 재고 관리 등 다방면에 부하가 증대합니다.

부품이나 도면의 표준화

①규격과 표준화

  • KS 등의 규격은 전세계에 존재하는데, 기본적으로 ISO 규격에 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국내에서의 제품 제조는 기본적으로 국내 규격에 준하는데, 해외 시장용으로 DIN 등의 규격에 준할 필요가 있어 표준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②표준 부품과 관리 절감

  • 설계자가 함부로 부품을 설계하여 “유사 부품”을 늘리지 않도록 표준 부품을 준비해 이를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설계를 합니다.
  • CAD 등에서 표준 부품 라이브러리를 준비해 표준화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 표준 부품 이용율이 높아지면 관리 절감으로 이어져 비용 절감, 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③그 밖의 특징

  • 도면의 표준화에서는 “표준수”(등비수례) 등으로 치수값을 정하거나 일반 공차, 일반 기하 공차 등도 이용됩니다.
  • 설계의 표준화는 각종 기법과도 관련되어 있으며 “식스 시그마” 등이 유명합니다.

*이처럼 표준화의 범위는 광범위하여 사내에서 체계적으로 구축해 침투시키기 어렵다고 합니다.

표준화의 이점과 결점

이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품이나 도면의 표준화를 추진해 관리 공정 수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도면 수가 줄어 조달에서의 견적 업무, 관리에서의 검사 업무, 제조에서의 관리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표준 부품의 비율이 높아져 제품의 품질도 향상됩니다.

결점

표준화에 집착하면 천편일률적인 설계가 증가합니다. 설계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표준 부품이라는 제한 하에 설계를 하게 되면 이른바 복사&붙여넣기 작업이 되어 버려 설계자의 창의력을 저해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개발 설계와 양산 설계로 표준화 운용을 나눌 필요가 있습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