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부품표 (BOM)상품 기초 지식

파생 모델이 많은 제품에서 활용되는 매트릭스 BOM(부품표)란

제품 중에는 발송처, 개별 고객용, 다채로운 옵션 설정을 가진 “파생 모델”이 많이 존재합니다. 여러 옵션 설정이 있을 경우 등, 그 조합은 배로 증가해 대응하는 부품표도 방대한 종류를 작성, 관리할 필요가 있고 관리 비용 등도 거액이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매트릭스 BOM(부품표)에 대해 해설하겠습니다.

파생 모델(파생 제품)이란?

필자는 오랫동안 차재 오디오 메카니즘 설계에 종사해 왔습니다. 메카니즘은 “파생 모델”이 많이 존재합니다. 메카니즘의 기본 구성은 공용이지만, 각종 다양한 옵션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부품은 “파생 모델”마다 변화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북미 사양”, “EU 사양”, “A 자동차의 OEM” 등 다양해, 설계 변경 시 부품표 확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매트릭스 BOM이란?

아래 그림에 매트릭스 BOM을 기재했습니다. 왼쪽은 일반 부품표 구성이며 오른쪽에 파생 모델 구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부품 번호/유닛 번호 부품명 재료 A 사양 B 사양 C 사양
1 ABC-0003 메인 프레임 SS41 1 1
2 ACC-0202 메인 프레임 SS41 1
3 POI-0992 모터 1
4 AZZ-0092 모터 1
5 RES-2099 모터 1 1
6 ASA-3492 베이스 유닛 1 1 1
7 SSS-0841 전장 유닛 1 1
8 BHD-2201 전장 유닛 1
9 GKW-4129 배터리 1 1
10 SSS-9923 배터리 1

특징 ① 올인원 부품표

  • 1개의 부품표로 모든 파생 모델의 부품 구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열을 추가하기만 하면 새로운 부품표를 작성하지 않고 파생 모델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특징 ② 부품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 부품이나 유닛에 설계 변경이 있을 경우, 어떤 파생 모델에 영향을 주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상기 부품표의 5번 모터 변경은 “B, C 사양” 제품에 영향을 준다)

특징 ③ 매트릭스 BOM의 결점

  • 유닛이나 부품의 조합 확인은 설계자가 해야 합니다. (전장 유닛과 배터리 용량에는 정해진 조합이 있어, 부품표에서는 가능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 구매 부문이 조달을 위한 구입 리스트를 작성할 때, 매트릭스 BOM에서 추출해야 하는데, 실수의 요인이 됩니다.

매트릭스 BOM의 결점을 보완하는 CAD 기능

①컨피규레이션

일반적인 3D CAD에는 파생 모델을 고려한 설계에 대응하는 “컨피규레이션”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각종 다양한 유닛, 부품 등의 조합을 “테이블”(부품표와 같은 것)로 관리할 수 있으며, 파생 모델별 설계 검증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②컨피규레이터

파생 모델에서의 부품, 유닛 조합 룰을 정의하여, 각종 다양한 신규 파생 모델을 실수 없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 PC 구입 사이트의 사양 주문 제작은 컨피규레이터가 이용되어 올바르지 않은 조합을 배제해 줍니다.)

정리

파생 모델이 많은 제품인 경우, 제품별로 개별 부품표를 작성하면 설계 변경 대응 등이 매우 번잡해집니다. 그러나 매트릭스 BOM을 이용하면 공통 부품과 전용 부품의 구별이 용이해져, 설계 변경 관리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습니다. 3D CAD에도 매트릭스 BOM 기능으로 컨피규레이션이 있어, 효율적으로 파생 제품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