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부품표 (BOM)상품 기초 지식

설계 부품표(EBOM)와 제조 부품표(MBOM)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

부품표는 기본적으로 제품에 대해 1개이지만, 실제 업무에서는 설계 부품표와 제조 부품표와 같이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들은 언뜻 비슷해 보이는 부품표로 설계 변경 관리가 번잡해져, 생산 주문 실수 등의 원인이 되므로 수많은 회사에서는 여러 부품표를 통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설계 부품표란?

설계 부품표는 일반적으로 EBOM(Engineering BOM)이라 합니다. 이름 그대로 설계가 작성한 제품의 부품·유닛 구성을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설계 변경 등을 포함하여 최신판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3D CAD의 어셈블리 트리가 설계 부품표와 유사합니다.

제조 부품표란?

제조 부품표란 일반적으로 MBOM(Manufacturing BOM)이라 합니다. 이름 그대로 제조(관리)가 작성한 부품표로, 생산 공정에 준해 설계 부품표를 재편한 것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조립 공정 등의 요소에 추가되어, 최신판과는 시간차가 있는 표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언뜻 비슷해 보이는 설계 부품표와 제조 부품표

차이: 추가 요소

  • 제조 부품표에서는 설계 부품표에는 없는 “보조재”가 존재합니다. 예: 도장, 윤활유, 씰재 등: CAD에서 작성하지 않은 것)
  • 나사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제품에서는 설계 부품표가 아닌 제조 부품표에 “보조재” 1세트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징: 유닛 구성

  • 자동차 등과 같이 다른 생산 거점에 사용할 경우, 협력회에 대한 주문 관계에서 설계 부품표의 유닛과 다른 구성의 유닛 구성으로 부품표를 작성합니다.
  • 서비스 파츠용 유닛 구성은 제품의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부품 세트를 공급할 필요가 있어, 별도로 부품표가 작성됩니다.

특징: 적용 시기

  • 설계 변경 부품이 여러 개인 경우, 모두 동시에 주문이나 생산을 할 수 없습니다.
  • 구 부품의 재고 상황, 생산 기술의 지그 갱신 시기 등에 맞게 “시간차”를 두고 부품표를 갱신합니다. (예: 설계 부품표의 A-ver2 부품 적용은 다른 부품보다 늦어, 일정한 기간 동안 제조 부품표에서는 A-ver1 부품으로 둔다.)

EBOM과 MBOM 운용은 어떻게 하는가?

설계 변경 프로세스로 관리

설계 변경을 “설계, 생산 기술, 제조(관리), 구매”에서 공유하여, 제조(관리) 등이 제조 부품표를 작성한 후, 설계 부품표와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설계에 확인합니다. 이처럼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운용이 가능해지는데, 어떻게 해도 인위적인 실수가 발생합니다.

IT 시스템으로 관리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에서는 여러 부품표를 설계 부품표에 링크하여 작성하므로 여러 부품표를 통합할 수 있어 인위적인 실수를 크게 줄입니다.
PLM으로 작성되는 부품표를 일반적으로 BOM View라 합니다.

정리

부품표는 이를 이용하는 부서에 맞게 외관이나 내용이 변합니다. 1개의 제품이라도 EBOM, MBOM이 있어 설계 변경 관리 등이 번잡해지는데, PDM, PLM 등의 IT 시스템을 이용하면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어 인위적인 실수에 의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