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CAD 보급에 따라 기존의 2D CAD를 이용한 기계 설계에서 3D 설계로 이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설계자의 부담이 줄어들지 않고 설계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계 설계에 있어서의 2D 설계와 3D 설계의 차이 및 3D 설계를 사용하는 장점 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2022/09/01)
3차원 단독도를 이용하여 무도면 시스템을 검토 중인 제조업은 많지만, 실제로 무도면 시스템을 달성하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반면, 3D CAD를 활용하여 완전 무도면 시스템을 달성한 회사도 있습니다. 3D CAD를 활용한 무도면 시스템에 적합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무도면... (2022/09/01)
일반적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는 설계 검증을 위한 시제작품 부품으로 확인한 후, 양산 부품(실제 양산에서 조달되는 부품)으로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시제작품 부품과 양산 부품은 도면상으로는 완전히 동일하지만 부품 주문 프로세스는 다릅니다. 부품 주문이란? 간단히 말하자면 부품 주문이란 부품 제조업체에 주문서를 도면과 함께... (2022/09/01)
기계 설계나 기구 설계에서는 3D CAD를 도입해도, 구상 설계는 2D CAD로 하는 설계자가 많지 않은가요? 3D CAD의 진가를 발휘할 수 있는 3차원 설계 기법으로 풀 3차원 설계를 목표로 도전해봅시다. 기계 설계에 있어서 구상 설계란? 제로 상태에서 설계 사양을 만족 시키는... (2022/09/01)
2D CAD와 3D CAD는 설계의 편리함에 차이가 있을까요? 드래프터에 의한 수작업 2차원 도면에서 2D CAD로의 이행은 100% 가깝게 실현됐지만, 2D CAD에서 3D CAD로의 이행은 좀처럼 진행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2D CAD는 도면 작성 툴이고, 3D CAD는 설계... (2022/09/01)
3D CAD에서 설계·작성되는 3D 데이터는 디지털 프로토타입이라 하며, 실제로 부품의 시제작품을 만들지 않아도 PC 내에서 조립 검증할 수 있습니다. 3D CAD에서는 단순히 조립도(어셈블리)를 작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조립을 의식한 설계가 중요합니다. 조립도(어셈블리) 내에서 부품을 설계한다 3D CAD에서의 모델링은 부품 파일에서... (2022/09/01)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은 시제작품을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제품 개발 시는 설계한 제품의 성능이나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시제작품을 활용합니다. 그 중에서 시제작품 개발을 단기간에 할 수 있는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의 개요와 장점, 종류... (20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