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기계설계상품 기초 지식

생산 기술 부문에도 3D CAD를 활용하는 사례

3D CAD는 설계자의 툴이라는 고정 관념을 갖고 있진 않나요? 실은 생산 기술 부문과 같이 설계 이외의 부문에서도 3D CAD를 이용하여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계, 생산 기술, 제조, 공사용 기계 등의 부문간에 정보의 공유화를 통해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생산 기술 부문의 AS IS

생산 기술에서는 생산 준비로 지그 설계나 조립 순서 확인 등을 하는데, 설계가 도면을 작성한 후에나 시작할 수 있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계 정보가 도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설계 부문이 3D CAD로 설계해도 생산 기술이 3D CAD를 이용하지 않으면 3차원 모델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3D CAD로 가능한 생산 기술의 업무

①지그 설계

설계 부문에서 3차원 부품이 공급되면, 지그의 설계 기준으로 부품을 3차원 공간에 배치하여 위치 결정 핀이나 스터드의 레이아웃을 직접 설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계 도중인 3차원 데이터도 설계와 공유하면 지그를 동시에 진행해 설계할 수 있습니다. 지그 관련 개선점이 있으면 바로 설계에 피드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다리지 않고도 보다 적극적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습니다.

②조립 검증

일반적으로 지그가 제대로 기능하는지는 설계 시제작품 검토 시 생산 기술도 참가해 공동으로 확인합니다. 그러나 시제작품 부품이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3D CAD를 이용하면 시제작품 부품을 기다릴 필요 없이 3차원 모델로 지그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워크 조작 등도 검토할 수 있습니다.

③설계 변경에 따른 검증

설계 부문에서 부품 형상이 설계 변경에 의해 변경되면, 생산 기술 부문은 변경의 영향도를 모든 관련된 지그 1세트에서 실시해야 하므로 엄청난 작업량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3D CAD를 이용하면 설계와 공유하는 3차원 부품이 지그 설계의 기준이 되므로 자동으로 변경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간섭 확인 등도 빠짐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설계 변경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생산 기술 부문의 TO BE

3D CAD를 이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업무에 임하게 되면 설계와의 상승 효과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설계의 3차원 데이터를 연동하여 지그를 설계하기 때문에 설계 부문이 설계 도중이라도 지그의 관점에서 조언하여 신속한 생산 대응도 가능해집니다.

정리

3D CAD는 설계자의 모델링 도구에서 설계 툴, 더 나아가서는 생산 기술이나 제조 부문까지 모두 아울러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3차원 모델은 도면 대신 설계 정보를 회사 전체, 고객까지 포함하여 정보 공유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3차원에 의한 개발 프로세스를 실천하는 기업은 이처럼 폭넓은 3D CAD 활용에 성공했습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