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기계설계상품 기초 지식

지그 설계에서도 응용이 가능한 템플릿 설계

템플릿 설계를 지그 설계에서도 응용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조립 지그나 가공용 지그 등은 기본 구성이 유사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워크 형상이나 치수가 미묘하게 달라도 도면을 새롭게 그려야 하기 때문에 효율화나 표준화를 도모하기 어렵습니다. 현재는 3D CAD가 보급된 덕분에 “템플릿 설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효율화와 표준화가 가능해졌습니다.

템플릿 설계란?

우선 템플릿 설계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3D CAD의 기능을 활용한 설계 기법 중 하나로 대표적인 제품 구성을 간략화하여 범용성을 갖춘 후 템플릿으로 준비해 둡니다. 설계자가 신규 설계를 시작할 때, 설계 사양에 가까운 템플릿을 골라 설계를 시작하면 기본 구상을 설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 설계로 가능한 것

템플릿 설계에는 주로 3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①파라미터 설계

지그를 구성하는 부품을 파라메트릭으로 설계하여 임의로 설정한 변수값을 설계 사양에 맞게 변경하면, 모델링 편집없이 적절한 지그가 완성됩니다. *파라메트릭이란 일반적인 3D CAD 시스템에서 부품의 사이즈를 규정하는 치수값을 편집하면 3차원 모델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기능입니다.

②표준화(설계 룰, 노하우)

3차원 모델에는 “설계 의도”를 정의해 둘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테이지의 가로 세로 비율이나 테이블 사이즈로 변화하는 장착 홀의 위치나 배열을 설계 룰에 기초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설계자 전원이 템플릿 설계를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설계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또한, 3차원 모델의 도면 검토도 반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③표준화(부품, 구입품)

템플릿 표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어셈블리이기 때문에 유사 부품을 마구 새롭게 설계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표준 부품 라이브러리를 정비해 두면 템플릿에서의 베리에이션 설계 시에도 표준화된 부품, 구입품을 이용하게 됩니다.

한층 더 고도화된 템플릿 설계

일반적으로 템플릿 설계는 3D CAD의 표준 기능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3D CAD의 API를 이용하면 CAD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템플릿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XCEL로 작성한 지그 설계 사양서에서 API를 통해 부품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API란 3D CAD가 공개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프로그램과 CAD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 것입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