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기계설계상품 기초 지식

3D CAD 활용으로 실현 가능한 무도면 시스템

3차원 단독도를 이용하여 무도면 시스템을 검토 중인 제조업은 많지만, 실제로 무도면 시스템을 달성하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반면, 3D CAD를 활용하여 완전 무도면 시스템을 달성한 회사도 있습니다. 3D CAD를 활용한 무도면 시스템에 적합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무도면 시스템에 적합한 제품

제품 중에는 무도면 시스템에 적합한 것이 있습니다. 이들 제품은 실제로 무도면 시스템으로 설계, 제작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헤드폰, 스피커 등의 액세서리 제품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자유 곡면으로 구성된 의장 형상이 주체로 되어 있어, 2D CAD를 이용했던 시대부터 2차원 도면으로는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 제품입니다. 따라서 도면은 참고도 수준으로 그릴 수밖에 없어 실제 승인은 현물(실물 크기의 모형이나 금형)로 이루어졌습니다. 3D CAD가 보급되자 2D CAD에서는 실현하지 못했던 자유 곡면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어, 현물 승인 대신 3차원 모델을 이용한 무도면 업무로 원활하게 이행하게 되었습니다.

3D CAD를 활용한 무도면 시스템에서의 업무 흐름

무도면 시스템에서의 업무 흐름이란 3D 모델을 중심으로 한 프로세스이므로 도중에 도면이 개재되는 일은 없습니다.

①디자인 검토

디자이너는 디자인안을 3DCAD로 모델화하기 때문에 CG 기능 등으로 실물 크기의 모형을 작성하지 않아도 디자인을 검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그 어떤 방해도 없이 검토한 후 3차원 모델을 설계 부문에 넘길 수 있습니다.

②설계에 의한 분해

설계자는 3DCAD를 사용해 디자이너에게 공급된 3차원 모델로 제작 가능성을 고려하며, 분리선 설정이나 내부 기구 검토(보스, 리브 등)를 실시해 최종적으로 3차원 어셈블리를 완성시킵니다. 또한, 치수 공차나 기하 공차는 기본적으로 일반 공차로 도면은 그리지 않습니다. *의장 부품은 정밀 기계 부품과 달리 고정밀도를 요하지 않으므로 일반 공차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③시제작품 확인

시제작품 제조업체에 시제작품을 주문할 경우 2차원 도면이 필요하지만, 해외(아시아) 대부분의 시제작품 제조업체는 2차원 도면을 요구하지 않고 3차원 모델만으로 시제작품이나 임시 모형을 작성합니다. 수납 검사는 3차원 데이터 대응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해 실시하며, 실제로 조립할 땐 부품간 맞춤에 문제가 없으면 통과됩니다.

④생산

수지 성형 금형을 3차원 모델로 주문하며 승인 작업도 3차원 측정기 등으로 실시합니다. 또한, 조립 지그도 3차원 모델 기준으로 준비됩니다. *이상 모든 프로세스가 무도면 시스템으로 이루어집니다.

무도면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

정밀 기계 등, 상세한 가공 정보가 필요한 제품(부품)은 2차원 도면으로 치수 공차, 기하 공차 등을 지시해야 하므로 현재는 무도면 시스템과 맞지 않습니다. 이들 제품에는 도면 뿌리 깊게 문화가 자리잡고 있어, 무도면 프로세스로 바꾸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