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D기계설계상품 기초 지식

3D CAD 데이터와 도면을 함께 사용하여 업무 효율화

오랫동안 이어진 도면 문화에 3차원이 더해지면서 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크게 진화했습니다. 설계의 성과물로서 도면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3D CAD 데이터 취급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해 업무의 효율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도면과 3D CAD 데이터의 관계란?

도면은 3D CAD 초창기 이전부터 일반적인 설계 정보 전달 수단으로 이용되며 현재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3D CAD 데이터의 순서는 시제작품에서 CAE나 조립 검증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작업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최근 들어 3D CAD가 설계의 메인 툴로 자리를 잡으며, 최초의 성과물로 도면에 앞서 3D CAD 데이터가 작성되어 설계를 검증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설계 정보 전달 수단으로 도면이 필요해 3D CAD 데이터에서 도면을 작성해야 합니다.상기의 2개의 프로세스를 비교해 보면, 도면이 최종 성과물이라면 후자의 프로세스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3차원화에서는 도면이 필요 없는가

3D CAD 초창기에는 3D CAD의 영업 사원에게 2D CAD를 버리고 3차원화를 진행해야 한다는 설명을 들었는데, 여기엔 오해가 있었습니다. 2D CAD를 버린다는 것은 도면을 작성하지 않는다는 건 아니었습니다. 수많은 제조업에서는 각종 다양한 용도로 도면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매, 생산 기술, 제조, 영업 등 모든 부서가 도면을 갖고 일을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도면을 없앨 순 없습니다. 또한, ISO를 취득한 경우에도 룰 내에 도면 운용이 포함되어 있어 도면을 없앨 순 없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3D CAD 데이터와 도면은 공존하지 않으면 업무 효율을 저하 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3D CAD 데이터와 도면의 공존에 의한 업무의 효율화

3D CAD에는 도면 작성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도면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3D CAD 데이터와 도면이 연결되어 관리됩니다. 이렇게 3D CAD 데이터와 도면이 공존하고 있어, 설계 변경 시 3D CAD 데이터를 수정하면 연결된 도면도 자동으로 수정되어 바로 출도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뷰어 툴을 이용하면 3D CAD를 갖고 있지 않은 관계자에게 3D CAD 데이터와 연결된 도면을 배포해 참조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도면에서 3D CAD 데이터를 작성할 경우,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3D CAD 데이터에 하이퍼 링크 등을 이용해 2차원 도면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PDM 등의 데이터 관리 툴을 이용해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주※주의: 이 경우 도면을 수정해도 자동으로 3D CAD 데이터는 수정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3D CAD 데이터와 도면이 공존하는 환경은 업무 효율을 향상 시켜 줍니다.

이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