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항

용접 제품 주의사항

용접 사상 처리(그라인더)

  • 용접 비드 부분과 슬래그 부분은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제거 합니다.
  • 내부의 용접부는 그라인더 작업이 불가한 경우, 클리너 등을 이용해 제거합니다.
  • ※그라인더 및 클리너 작업 이후에도 용접 흔적은 남을 수 있습니다.
SPCC/SPHC 외관 – 외부
SPCC/SPHC 외관 – 내부
SECC 외관 – 외부
SECC 외관 – 내부
A5052 외관 – 외부
A5052 외관 – 내부

전해 연마

  • SUS304(2B), SUS304(양면 폴리싱)는 전해 연마로 용접 마감 처리합니다.
  • 전해 연마의 경우 내부 까지 용접 흔적이 제거되나, 슬래그는 다소 남을 수 있습니다.
SUS304(2B) 외관 – 외부
 
SUS304(2B) 외관 – 내부

스팟 용접 재질별 마감


・SPCC/SPHC:

  • 스팟 용접 후 사상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흔적이 다소 남을 수 있습니다.
  •  

・SECC(전기 아연 도금 강판):

  • 스팟 용접 후 사상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흔적이 다소 남을 수 있습니다.
  •  

・SUS304(2B):

  • 스팟 용접 마감은 전해 연마를 실시하고 있으며. 흔적이 다소 남을 수 있습니다.
  •  

・A5052:

  • 스팟 용접 후 사상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흔적이 다소 남을 수 있습니다.
  •  
 

도금(도장)품의 외관

밀폐 박스 형상의 경우, 도금(도장)의 처리액이 남아있어 흔적(아래 표시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라인더 마감 후, 표면 처리(아연도금, 무전해니켈도금, 아노다이징 등)를 진행하여도 제품에 그라인더 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상자 모양의 모서리에서 흔적이 발생하는 예

상자 형상 모서리의 외관

상자 형상의 모서리는 외부 방향에서 용접하여 홀을 채웁니다.

 
모서리 부분 구멍이 채워진 상태          모서리 부분 구멍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

용접 부분의 외관

슬래그

 
  • 철, 알루미늄,스테인레스 재질의 경우에는  손톱에 걸리지 않는 정도의 제거 흔적이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철 재질 슬래그 제거 전철 재질 슬래그 제거 후

용접 비드 관리


용접 비드 부분에 버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용접 비드 부분의 균열이 없는 것을 확인합니다.
언더컷 및 오버랩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균열언더컷오버랩

주의

아래의 사진과 같이 아크 용접 중 용접봉을 사용하지 않고 가공한 경우에는,
안쪽 부분이 채워지면서 용접 비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용접봉을 사용하지 않고 TIG 용접으로 가공한 예

아크 스트라이크

아크 스트라이크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아크 스트라이크의 예

 

용접 비드 슬래그


아크 용접 중 철 재질의 후판을 가공할 때, 용접 비드상의 슬래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슬래그는 제거하나, 일부 흔적이 남을 수 있습니다.

슬래그가 있는 용접 비드 부분은 표면 처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슬래그 발생 사례(흑점 부분)
 

가접

용접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형상에 따라 가접을 한 후 메인 용접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일부 가접 흔적이 보일 수 있지만 기능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가접 흔적(스팟 용접)

스팟 용접 가공시의 부품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해, 가접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접은 판 후면에  가공하며,  후면 가공이 어려울 경우 측면 부위에 실시합니다.

SPCC/SPHC

SUS304(2B)

A5052

스팟 용접 흔적

스팟 용접은 하기 형상과 같이 불균일 하게 가공 될 수 있습니다. 

※외관상으로 원형으로 정확한 가공이 필요하신 경우 「기타 추가 지시」 사항에 작성하여 요청 해주세요.

원형일그러짐